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국 청년 체감물가, 장보기 비용 4단계 변화

by naru07 2025. 7. 22.

한국 청년 체감물가, 장보기 비용 4단계 변화

공식 통계는 ‘물가 안정’을 말하지만, 많은 한국 청년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전혀 다릅니다. 편의점 도시락 한 끼, 마트에서의 장보기 등 일상적인 소비에서 느끼는 부담은 공식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훨씬 큽니다.

지금부터 한국 청년층이 마주한 장보기 비용 변화의 4가지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1. 가격은 그대로, 양은 줄어든다

표면적으로는 가격이 변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용량이나 품질이 줄어든 경우가 많습니다.

  •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현상 확산: 가격은 그대로, 내용물은 감소
  • 스낵, 커피, 냉동식품 등 포장 식품의 중량이 눈에 띄게 줄어듬
  • 청년 소비자들은 “적게 받고 많이 낸다”는 인식에 불만을 느끼고 있음

이러한 은밀한 인플레이션은 심리적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2. 신선식품과 생필품 중심의 가격 급등

계란, 쌀, 채소 등 기본 식재료의 가격 상승 폭이 특히 큽니다.

  • 조류독감, 기후 이상으로 공급망 불안정
  • 곡물 수입단가 인상 → 빵, 국수 등 가공식품 가격도 상승
  • 계절 채소는 과거보다 변동 폭이 훨씬 커짐

학생,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은 이러한 품목을 대체하거나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3. 브랜드 충성도 붕괴

가격이 중요한 구매 결정 요소로 떠오르면서, 브랜드보다 가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습니다.

  • 프리미엄 브랜드 대신 PB(자체 브랜드), 할인 제품 구매 증가
  • 편의점 대신 저가 슈퍼마켓 선호
  • 정기배송 식품 서비스, 밀키트 소비 확산: 예측 가능한 가격 선호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 소비 패턴이 ‘예산 중심’으로 재편

물가 상승에 대응해 청년층은 보다 체계적인 소비 전략을 택하고 있습니다.

  • 지출 추적 앱 사용이 보편화
  • ‘무지출 챌린지’, 대량 구매 등 절약형 소비 콘텐츠 SNS에서 확산
  • 외식, 배달 대신 직접 요리하는 비율 증가

단기적 대응에서 시작된 절약 습관이 이제는 생활 전반에 걸친 구조적 변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한국 청년들에게 물가 상승은 숫자 이상의 문제입니다. 장보기 하나에도 전략이 필요해진 시대, 청년들의 소비 습관은 단순한 대응을 넘어 사회적 신호로 읽힐 수 있습니다. 기업과 정책 당국은 이들의 체감 변화를 더 민감하게 들여다봐야 할 시점입니다.